본문 바로가기
▶ 생정 · 농정 ◀

우리나라의 절기별 풍습과 농사일정

by 원이119 2025. 1. 22.

우리나라는 일 년에 사계절이 담긴 동아시아 국가로, 비록 기후위기때문에 매년 혼란스럽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 해 일정 시기가 되면 자연스레 계절이 바뀜을 느낄 수 있습니다. 

조상들은 이런 계절의 굴레를 "24절기" 로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각 절기마다 할 수 있는 일을 담은 세시풍속이 존재합니다. 24절기는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어떤 풍속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절기의 유래

절기는 태양이 지나가는 길, 황도상 구분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24등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는 음력이 아닌 양력의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 중국에서 계절과 날짜를 정하는 방법에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평기법(平氣法)이고, 다른 하나는 정기법(定氣法)이다. 예전에는 장구한 세월에 걸쳐서 평기법을 써왔다. 이것은 1년의 시간적 길이를 24등분하여 황도상의 해당점에 각 기를 매기는 방법인데, 동지(冬至)를 기점으로 하여 순차로 중기·절기·중기·절기 등으로 매겨나가는 방법이다. 그러다 청나라 때 정기법을 공식으로 채택하여 사용했는데, 이것이 오늘날 절기법이 된 것이다. ]

[네이버 지식백과] 24절기 [二十四節氣]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최초의 절기는 정기법이라는 계산법을 발견한 중국 청나라 기원이지만, 이런 절기법은 한국 농경사회에서 계절의 변화와 농사의 시기를 알리는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되었습니다. 

24절기 종류와 뜻, 세시풍속

절기 대략날짜 세시풍속
입춘 2월 4일경 봄의 시작 입춘굿, 
우수 2월 19일경 봄 비가 내리고 싹이 틈 설날, 정월대보름
경칩 3월 6일경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  
춘분 3월 21일경 낮, 밤의 길이가 같은 날 영등제, 콩볶기
청명 4월 6일경 봄 농사를 준비 나무심기
곡우 4월 20일경 농사비가 내림 한식, 삼짇날, 절사 지낸 후 화전놀이
입하 5월 5일경 여름의 시작 농사 바빠지기 시작함
소만 5월 21일 경 본격적인 농사 시작 초여름 모내기, 초파일
망종 6월 6일경   씨뿌리기를 시작함, 보리가 익어감
하지 6월 21일경 낮이 가장 긴 날 기우제, 단오
소서 7월 7일경 더위 시작 논에 잡초를 뽑는다
대서 7월 23일경 가장 큰 더위 삼복, 유두천신
입추 8월 7일경 가을의 시작 김장용 배추와 무 심기
처서 8월 23일경 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커지기 시작함 칠석제, 백중
백로 9월 8일경 이슬이 내리기 시작  
추분 9월 23일경 밤, 낮의 길이가 같음 추석
한로 10월 8일경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 국화술 담그기
상강 10월 23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중양절
입동 11월 7일 경 겨울의 시작 김장준비
소설 11월 22일 경 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 얼음이 얼기시작함 성주고사, 시제, 
대설 12월 7일 경 겨울 큰 눈이 옴 이날 눈이 많이 내리면 다음 해 풍년이라 했다
동지 12월 22일경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 팥죽을 쑤어 먹으며 액운을 쫒아냈다
소한 1월 5일경 겨울 중 가장 추울 때  
대한 1월20일 경 겨울 큰 추위, 이를 기점으로 기온이 오르기 시작함 섣달 그믐달 묵은 세배하기, 신정

 

절기별 가드닝 계획짜기

절기가 어떤 것인지 살펴봤으니, 이를 통해 현재 우리가 식물을 키우는 데 필요한 일을 계획하도록 해봅시다. 해마다 절기 날짜가 달라지니 그때마다 달력에 표시하고 계획을 세워봐도 좋습니다.

ex) 한로 이후로 실내에 들여올 식물 추리기, 경칩 이후로 베란다에 옮길 식물 정하기

 

여러분은 어떤 절기가 가장 좋은가요? 새로운 절기계획이 있나요?

이 글을 참고하시고 새로운 계획을 세워보아요!